산재병원 의료장비 절반 노후…의료진 부족도 심각
근로복지공단이 운영하는 산재병원의 의료장비 절반 이상이 내구연한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진 충원도 원활하지 않아 산재노동자의 치료와 재활에 차질이 우려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김주영 의원(더불어민주당, 김포시갑)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산재병원과 산재의원의 의료장비 총 4,862점 가운데 2,548점(52.4%)이 내구연한을 넘긴 상태였다. 의료장비 노후화율은 2020년 33.5%에서 올해 52.4%로 매년 증가했다.
특히 CT, MRI 등 필수 의료장비의 노후화율은 46.7%에 달했다. 6년 이상 내구연한을 초과한 장비가 954점, 이 가운데 10년 이상은 263점, 20년 이상 초과 장비도 64점으로 확인됐다. 장비 노후화가 환자 안전에 직접적 위협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의료 인력 상황도 열악하다. 산재병원 의사 수는 2020년 213명에서 올해 240명으로 늘었지만, 전체 의사 퇴사율은 평균 22.8%, 충원율은 평균 87%에 그쳤다. 지방을 중심으로 한 의사 구인난이 심화되면서 의료 공백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단은 지난해 전공의 파업 당시 비상진료대책본부를 꾸려 응급실·수술실·중환자실을 24시간 운영하며 의료공백 최소화에 나섰다. 그러나 응급 대응과 별개로 장비 노후화와 의료진 부족은 여전히 산재병원의 구조적 한계로 남아 있다.
김주영 의원은 “산재노동자의 치료와 재활을 책임지는 산재병원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노후도가 높은 필수 장비를 교체하고, 의료진 확충에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산재사고 예방뿐 아니라 치료·재활·복귀까지 국가가 책임지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